맨위로가기

메수드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수드 1세는 룸 셀주크 술탄 킬리즈 아르슬란 1세의 아들로, 1116년 멜리크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후 권력을 장악했다. 그는 다니쉬멘드 왕조와의 동맹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비잔틴 제국과 제2차 십자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시리아 지역으로 영토를 넓혔다. 메수드는 룸 셀주크 술탄으로서는 처음으로 주화를 발행했고, 1154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킬리즈 아르슬란 2세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룸 술탄 - 킬리지 아르슬란 1세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룸 셀주크 왕조의 술탄으로, 말리크샤 1세 사망 후 왕조를 재건하고 십자군 전쟁에 맞서 싸우며 영토를 확장했으나, 카부르 강 전투에서 패배 후 익사했다.
  • 룸 술탄 - 멜리크샤
    멜리크샤는 룸 술탄국의 술탄으로, 아버지 클르츠 아르슬란 1세 사후 이스파한에 억류되었다가 아나톨리아로 돌아와 왕위에 올랐으나 비잔틴 제국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동생에게 폐위당하고 살해당했다.
  • 1155년 사망 - 고노에 천황
    도바 상황의 원정 정치 하에 명목상의 군주였던 고노에 천황은 스토쿠 천황의 양위를 받아 즉위했으나 후계자 문제와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 1155년 사망 - 몬머스의 제프리
    몬머스의 제프리는 아서 왕 전설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중세 작가이자 성직자이며, 《브리타니아 열왕사》, 《멀린의 예언》, 《멀린의 생애》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제2차 십자군 무슬림 - 살라딘
    쿠르드족 출신 살라딘은 아이유브 왕조의 창시자이자 술탄으로, 이집트 장악과 시리아 정복, 십자군과의 전쟁에서 승리, 그리고 관용과 용맹함으로 이슬람 세계와 서구 세계 모두에게 존경받는 인물이다.
  • 제2차 십자군 무슬림 - 알하피즈
    알하피즈는 파티마 왕조의 칼리파로, 권력 투쟁과 분열 속에서 통치했으며, 섭정으로 권력을 잡았지만 암투가 지속되었다.
메수드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룩크 앗딘 마수드 1세의 주화. 앞면: 비잔틴 황제의 흉상.
룩크 앗딘 마수드 1세의 주화. AH 510-551 (AD 1116-1156). 앞면: 비잔틴 황제의 흉상.
이름메수드 1세
원어 이름Mesud
페르시아어 이름ركن الدین مسعود
튀르크어 이름I. Rükneddin Mesud
칭호에뷜페트 엣술타뉠무아잠 이쥣뒨야 베딘
전체 이름Rukn al-Dīn Mas'ūd Klada
통치
작위룸 셀주크 술탄
재위1116년 ~ 1156년
이전 통치자말리크 샤
다음 통치자클르츠 아르슬란 2세
가문
왕조셀주크 왕조
가문셀주크 가문
아버지클르츠 아르슬란 1세
자녀클르츠 아르슬란 2세
종교
종교이슬람
종교 분파수니파
생애
사망일1156년

2. 생애

멜리크샤가 즉위한 후, 메수드 1세는 다른 이복형제 아랍과 함께 이코니온에 연금되었다. 1116년 비잔틴 제국과의 전쟁 과정에서 병사가 부족했던 멜리크샤는 메수드를 석방했다. 이후 메수드는 가지 이븐 다니쉬멘드와 협력하여 멜리크샤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고, 멜리크샤는 항복했으나 메수드의 아타베그들은 멜리크샤를 장님으로 만들고 1117년 처형했다.[7]

재위 초기 메수드는 가지 이븐 다니쉬멘드의 봉신과 같은 지위였다. 하지만 무함마드 이븐 가지 사후 다니쉬멘드 왕조의 계승 전쟁 과정에서 권력을 강화했다. 여러 다니쉬멘드 왕자들이 메수드에게 동맹을 요청했고, 말라테이아의 아인 알다울라는 메수드의 봉신이 되었다. 또한 딸들을 아마세이아세바스테이아의 지배자 야으바산, 카이사레아의 준눈과 결혼시켰다.[6]

메수드는 마누일 1세 콤니노스가 이끄는 로마 제국군이 이코니온을 점령하는 것을 막아냈고, 1147년 제2차 십자군을 도릴라이온 전투에서 격파했다. 1149년 마라트 알누만과 아인탑을 점령하는 등 시리아로 영토를 확장했다.[6]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장악

1107년, 킬리즈 아르슬란 1세가 하부르 강 전투에서 알레포의 리드완에게 패배하고 사망한 후,[1] 메수드는 형제인 말리크 샤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이복형제 멜리크샤가 즉위한 후, 메수드 1세는 또 다른 이복형제 아랍과 함께 이코니온에 연금되었다. 그러나 1116년 비잔틴 제국과의 전쟁 과정에서 병사가 부족했던 멜리크샤는 메수드를 석방했다. 이후 메수드는 다니쉬멘드 왕조의 도움을 받아 코니아를 점령하고 말리크 샤를 물리친 후 그를 맹인으로 만들고 결국 살해했다.[7] 1130년에는 코니아에 알라에딘 모스크 건설을 시작했으며, 이는 1221년에 완공되었다.[2]

2. 2. 통치 기간

메수드는 초기에는 다니쉬멘드 왕조의 봉신과 같은 지위였으나, 무함마드 이븐 가지 사후 다니쉬멘드 왕조의 계승 전쟁을 틈타 권력을 강화했다. 여러 다니쉬멘드 왕자들이 메수드에게 동맹을 요청했고, 말라테이아의 아인 알다울라는 메수드의 봉신이 되었다. 또한 메수드는 딸들을 아마세이아세바스테이아의 지배자 야으바산, 카이사레아의 준눈과 결혼시켰다.[6]

메수드는 비잔틴 제국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1146년 이코니움 원정에서 비잔틴 군을 격퇴했고, 1147년에는 제2차 십자군콘라트 3세가 이끄는 군대를 도릴라이온 전투에서 격파했다.[3] 1148년에는 루이 7세가 이끄는 십자군을 라오디케아에서 격파했다.

메수드는 시리아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1149년 마라트 알누만과 아인탑을 점령했다.[6]

1154년, 메수드는 비잔틴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사주를 받아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을 공격했으나, 성전 기사단의 지원을 받은 아르메니아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4]

2. 3. 죽음과 계승

메수드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킬리즈 아르슬란 2세가 그 뒤를 이었다.[5]

3. 주화 발행

메수드 1세는 룸 셀주크 군주 가운데 처음으로 주화를 발행하였다. 메수드의 동화 앞면에는 그의 이름이 아랍어로 새겨져 있었다. 그 뒷면에는 알렉시오스 1세 콤니노스의 주화를 본떠 비잔티움 황제와 같은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8]

참조

[1] 서적 Anatolia in the Period of the Seljuks and the Beyli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2] 서적 Konya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995
[3] 서적 The Islamic World in Ascendancy: From the Arab conquests to the siege of Vienna Praeger Publishers 2000
[4] 서적 The Armenian Kingdom in Cilicia during the Crusades: The Integration of Cilician Armenians with the Latins (1080–1393)
[5] 간행물 The Turkish Element in Byzantium, Eleventh-Twelfth Centuries 1989
[6] 웹인용 Saljuqs ⅲ. Saljuqs of Rum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Foundation 2010
[7] 웹인용 Mesud Ⅰ https://islamansiklo[...] Türkiye Diyanet Vakfı 2004
[8] 저널 Christian elements in the identity of the Anatolian Turkmens (12 th-13 th centuries) https://www.academia[...]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